hunet 기업교육

세미나 & 트렌드
[L&Deep-I] 당신의 조직은 ‘K’ 열풍 위에 올라탈 준비가 되었습니까?
2025-07 L&D insight

오늘의 L&Deep

[Insight Article] 우리 조직도 'K' 열풍 위에 올라탈 준비가 되었습니까?
[Insight Clip] 국내 유일 사업계획 특화 포럼, 포사이트 코리아 2026
[Curation] $%name%$님께 제안드리는 휴넷 추천 과정
  
우리 조직도 ‘K’ 열풍 위에 올라탈 준비가 되었습니까?

넷플릭스, K-POP,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까지. 지금 세계는 K-컬처에 완전히 빠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세계 대중문화의 중심을 바꾸는 변화입니다. 넷플릭스는 향후 4년간 한국 콘텐츠에 3.4조 원의 투자 계획을 밝히며, 한국 문화를 글로벌 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았습니다.

 

‘오징어 게임’ 시즌 1은 단 한 달 만에 1억 4,200만 가구가 시청했고, 2025년 공개된 시즌 3은 10일 만에 1억 6,300만 시간 시청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6월,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이슈몰이 속 이례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걸그룹 '헌트릭스'(사진출처: 넷플릭스)

판소리·한복·국밥·무속 문화 등 ‘가장 한국적인 것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 작품은 OST 역시 미국 스포티파이 차트 1·2위를 동시에 석권하며, 음악과 서사 모두에서 세계의 팬덤을 끌어냈습니다.

 

넷플릭스 공동 CEO 테드 서랜도스는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철학을 강조하며, 이는 한국 콘텐츠가 ‘현지화’에 의존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세계 무대에서 통할 수 있다는 강력한 신호가 되었습니다.

'K'는 이제 콘텐츠를 넘어 국격이자 전략!

소프트파워는 국가의 품격, 그리고 지속가능한 영향력의 힘입니다. 군사력이나 경제력처럼 단번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더 오래, 더 깊이 세계를 움직이는 힘이 바로 문화입니다.


모두가 소프트파워를 원하지만, 그것을 ‘패권’ 수준으로 보유한 국가는 극소수입니다.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처럼 오랜 시간 문화 우위를 유지해온 나라들만이 누려온 특권이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지금 한국이 콘텐츠를 넘어 푸드, 뷰티, 패션까지 전 세계의 동경과 모방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사실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국가 전략의 새로운 전환점을 의미합니다. 이제 ‘K’는 단지 콘텐츠가 아닙니다.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전략 자산이자, 세계가 반응하는 소프트파워의 기준이 되었습니다.

한눈에 보는 K-트렌드 임팩트
  • 넷플릭스: 4년간 한국 콘텐츠에 3.4조 원 이상 투자 계획 발표(2023년)
  • 오징어 게임 3: 공개 10일 만에 1억 6,300만 시간 시청(2025년)
  • 케이팝 데몬 헌터스: 공개 2주 차 만에 5,570만 시청 시간 달성(2025년)
  • K-POP 그룹 르세라핌·스트레이키즈: 미국 ‘빌보드 200’ 진입 및 1위 달성(2025년)
  • K-푸드 역대 최대 수출액: 130억 달러 돌파, 전년 대비 6.1% 증가(2024년)
  • 노벨 문학상: 한강 작가 한국인 최초 노벨 문학상 수상(2024년)
  • 토니상 6관왕: K-뮤지컬 ‘Maybe Happy Ending’ 브로드웨이 석권(2025년)

이처럼 ‘K’는 콘텐츠를 넘어 소비, 플랫폼, 기술 전략 전반에 스며들며 한국을 미래 산업과 전략을 주도하는 국가로 이끌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K-컬처가 정점에 선 지금,
우리는 이 기회를 잡을 준비가 되어있습니까?

K-콘텐츠의 성공은 한국적 감각을 세계 시장에 통하게 만든 기획력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교육담당자라면, 우리 조직이 이 흐름을 비즈니스 기회로 전환할 수 있도록 조직의 창의성과 실행력을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이제 단순한 트렌드로 소비할 것이 아니라 세계가 ‘K’에 반응하는 본질을 꿰뚫고, 그 흐름을 우리 조직만의 비즈니스 전략으로 전환할 방법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함께 읽으면 더욱 좋은 콘텐츠
  • 당신의 기업에는 슈퍼 팬덤이 있습니까? 휴넷CEO 비즈니스리뷰 자세히 보기 >
  • ‘K-컬처 300조 원’ 시대…한국 글로벌 소프트 파워 12위 자세히 보기 >
  • ‘예쁘다(Yepoda)'…넌 누구냐? ‘K-뷰티’ 가장한 유럽 브랜드 자세히 보기 >
  • 日 외무상, 美 국무장관도 "케이팝 데몬 헌터스"…무슨 일? 자세히 보기 >

미래 변화의 본질을 읽고 조직의 방향을 설계하는
휴넷CEO 포럼 '포사이트 코리아 2026'

대한민국 유일의 사업계획 특화 포럼, 포사이트 코리아 2026이 9월 30일(화)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립니다.

'피크코리아, 경영을 새로 쓰다: 새로운 질서 속 다시 쓰는 경영의 성공 방정식'을 주제로, 서울대 김세직 교수와 前 LG에너지솔루션 CEO 권영수 고문의 기조연설을 비롯해, 경제·국제정세, 경영전략·혁신, 마케팅, 조직인사·리더십, 테크·AI 등 5대 핵심 트랙에서 국내외 최고 전문가 32인의 세션이 펼쳐집니다.

급변하는 경영 환경을 넘어, 미래 전략을 설계하고 실행까지 연결할 기회!

2026년 비즈니스를 준비하는 핵심 전략과 해답을 단 하루에 집중적으로 만나보세요.

포사이트 코리아를 얼리버드 특가로 만나 보세요.(~8/15)

FORESIGHT KOREA 2026을 합리적인 금액으로 만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 8월 15일까지 진행하는 40% 할인 얼리버드 프로모션을 놓치지 마세요.

*개인 구매 시, 1인 최대 4매까지 구매 가능하며, 5인부터 단체 가격이 적용됩니다.

교육담당자님께 제안드리는 휴넷 추천 과정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 속 우리가 주목해야 할 최신 트렌드와 실전 전략을 담았습니다. AI, 심리학, 글로벌 사례까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로 조직의 경쟁력과 학습 효과를 높여보세요.

오징어 게임으로 본 인간과 조직 이야기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을 통해 조직 내 갈등과 협력, 리더십의 본질! 현실 조직에서 마주치는 갈등 상황을 스토리텔링으로 배우고, 심리적 동기, 구조적 전략을 이해해 보세요.

자세히 보기 >

증권부 기자의 엔비디아 풀스토리

증권부 기자가 전하는 엔비디아의 독보적 성장 전략과 AI 비즈니스. 데이터센터부터 AGI까지, 미래를 준비하는 경영 전략과 리더십 인사이트를 확인해 보세요.

자세히 보기 >

[스탠퍼드 명강의] 경영이라는 세계

빠르게 변하는 시장에서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리콘밸리 혁신 원리.

제록스·인텔·맥도날드 등 실제 사례를 통해 전략적 의사결정과 리더십 통찰을 배웁니다. 

자세히 보기 >


오늘의 L&Deep은 어떠셨나요?
Learning&Development를 위한 인사이트와 최신 트렌드를 전합니다.
" 맞춤 레터를 받고 싶어요!"
휴넷은 [CEO], [리더], [교육담당자]를 위한 레터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다른 레터를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변경신청 해주세요.
 원하는 레터로 바꾸어 발송해 드릴게요! *받고 싶은 정기레터 선택하기
  
휴넷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26길 5, 에이스하이엔드타워 1차 8층 1588-6559
수신거부 Unsubscribe

우리 기업에 필요한 교육을 10초 만에 문의해 보세요 기업교육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