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시작된 이후 매일의 일상부터 회사생활, 기업활동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에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비대면’이라는 핵심 키워드가 있으며, 이제는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당연한 것이 되어버렸습니다. 비대면은 더 나아가 ‘메타버스’라는 가상현실세계까지 연결되며, 교육에 있어서도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게 됐습니다.
이에 휴넷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주력으로 다양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레퍼런스에이치알디의 박준형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그 중에서도 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게더타운’이 어떻게 교육에 도입,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박 대표는 기업 교육에 활용되는 줌(Zoom) 등 화상회의 툴에 대한 효과성, 효율성에 충분히 공감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화상회의 툴은 ‘비대면’과 ‘비접촉’, 즉 장소에 구애받지 않은 의사소통을 구현하는데 집중한 나머지, 교육에 있어 특히 중요한 현장에서의 생동감과 공간감 등 요소가 부족하다는 점에 아쉬움을 느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 고민하던 중, 우연히 접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이러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습니다.
|
메타버스 세계관을 기업교육에 도입하게 될 경우, 학습자 경험의 관점에서 기존 비대면 교육과 가장 큰 차이점을 ‘공간’으로 꼽았습니다. 기존의 과정에서는 화상회의로 시각과 청각에만 의존하는 형식이 많았기에, 교육 과정 중 ‘줌 피로’라는 신조어가 나올정도로 인지부조화를 겪는 경우가 흔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메타버스 세계에서는 달랐습니다. ‘공간’이라는 차별성으로 인해 실제 게더타운을 통해 모의면접을 진행했던 참가자들은 ‘오프라인에서 진행하는 면접의 느낌을 경험했다’ 라는 답변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
채 2년도 되지 않는 짧은 시간 사이에 기업교육의 표준은 ‘비대면’으로 바뀌었습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한 번이라도 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하고 교육 또는 행사를 경험했던 기업들은 이미 다음 스텝으로 밟고 있습니다. 전국에 있는 직원들이 모여 소통할 수 있는 상시 커뮤니티 공간, 재택근무하는 직원들을 위한 가상 사무실 등 코로나 이후에도 점점 변화는 빨라질 것입니다. 이번 리포트를 통해 메타버스 세계와 만난 HRD, 그리고 전문가의 비밀스런 Tip까지 가장 먼저 접해보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