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모바일
과정코드 |
HLSP68460 |
교육분야 |
공통/직무 > 경영인사이트 > 세계경제와 트렌드 |
학습방법 |
동영상(Web+ Mobile) |
교재제공 여부 |
증정
-
|
고용보험 환급액 |
없음
|
교육비 |
80,000원 |
학습기간 |
1개월 |
학습시간 |
3시간
(영상재생시간 00:29:18)
*영상재생시간은 퀴즈와 summary를 제외한 영상시간입니다.
|
과정개요
시장 경제의 원리로 기후변화에 대처한다!
우리가 몰랐던 ‘탄소 배출권’ 거래제 이야기
꿀과 와인의 공통점은? 어쩌면 우리가 미래에 먹지 못할 수도 있는 식품이라는 것! 이상 기온은 꿀벌의 생존을 위협하고, 포도의 수확량에도 치명타를 입힌다. 기후변화에서 파생된 수많은 문제는 점차 인류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세계 각국의 당면 과제로 떠오른 ‘탄소 중립’.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소할 현실적인 대책은 무엇일까. <탄소 중립>의 저자 박호정은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기후변화 대책에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실질적인 방법으로 ‘탄소 배출권’ 거래제를 제시한다.
기후변화의 위기를 과연 시장 경제의 원리로 타파할 수 있을까? 경제학자들은 왜 환경 이슈에 주목하는가. 미래 세대를 위해 우리가 마련해야 하는 기후변화 해법을 경제학 이론을 통해 고민해 보자.
학습목표
- 기후변화의 정확한 정의와 현안, 각국 정부의 대책을 알아본다.
- 주요 에너지원의 종류와 각광받는 친환경 에너지, 우리나라 에너지 기술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대책을 시장 경제의 원리에 입각해 모색해 본다.
- ‘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개념과 실제 사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이해할 수 있다.
과정특징
01 | 외면할 수 없는 기후 변화의 시대
기후변화는 실재하는가? 이제 이 질문에 부정의 답을 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환경 이슈의 지나친 정치적 소비로 인해 기후변화 피로 증후군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지만, 그래도 분명 이 문제는 정책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UNDP의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까지 4천만 명이 사망할 수 있는 기후의 위기.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02 | 신재생 에너지, 탄소중립과 다양한 방식의 대응 방안
지난 시대의 주인공인 화석연료가 ‘추한 에너지’가 되어버린 지금, 주인공은 풍력, 태양광, 수소 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이다. 환경을 덜 파괴하면서 인간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탄소중립. 과연 그 실질적인 실행 방안은 무엇일까?
03 | 배출권 거래제, 과연 어떻게?
국제 사회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경제적 제재 방식인 배출권 거래제. 하지만 아직 성공적으로 시행된 케이스는 미국의 아황산가스 배출권 거래제가 유일하다.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 배출권 거래제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까?
교육대상
- 기후변화 해법에 대한 경제학적 관점이 궁금한 사람
- ESG 경영을 고민하는 기업인
- 친환경 소비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
- 미래 세대에 ‘온전한 지구’를 선물하고픈 모든 분들
교수소개
- 교수명
- 책 읽어주는 남자
- 학력
-
책 읽을 시간이 부족한 바쁜 현대인을 위해, 꼭 필요한 지식을 큐레이션 해 짧고 유익한 영상을 제작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그룹이다.
책의 스토리와 메세지를 영상 콘텐츠로 제작하여 책과 친해질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있으며, '지식을 말하다', '부쿠'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 경력
-
교육목차
- 제1장
- [북러닝] 탄소 전쟁
- 제1절
- 외면할 수 없는 현실, 기후변화
- 제2절
- 착한, 나쁜, 그리고 추한 에너지?
- 제3절
- 기후변화 해결의 경제학적 논리
- 제4절
- 탄소중립 구현의 현실적 대책, 배출권 거래제
- 제5절
- 이상적인 제도 정착을 위한 해법은?
수료기준
항목 |
사전 진단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 비율 |
0% |
0% |
0% |
100% |
0% |
60점 이상 |
수료조건 |
없음 |
80%이상 |
없음 |
필수 |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