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원문독파 사서삼경 시경(詩經)
과정코드 HLSP48788
교육분야 인문교양 > 인문학 > 철학
학습방법 동영상(90%)+WBT(10%)

**WBT (Web-based Training) :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웹을 기반으로 내용이 진행됨.(Flash 애니메이션 및 의견 작성 폼 등이 다수 포함됨)
교재제공 여부 증정 -
고용보험 환급액 없음
교육비 150,000원
학습기간 1개월
학습시간 20시간 (영상재생시간 16:45:37)
*영상재생시간은 퀴즈와 summary를 제외한 영상시간입니다.
이 교육, 우리 회사에 필요하다면?
단체 교육문의 개인 교육문의

과정개요

『시경』은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다. 기원전 11세기부터 기원전 6세기까지, 즉 서주 초부터 동주 중엽까지, 약 500여 년 사이의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진솔한 삶과 희로애락의 정서를 담고 있다. 이 시가집은 처음에는 ‘시(詩)’ 혹은 ‘시삼백(詩三百)’으로 불리다가, 한나라 때 정식으로 경전(經典)으로 채택되면서 『시경』이라 불리게 되었고, 그 명칭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공자(孔子)는 이 『시경』을 '사무사(思無邪)', 즉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는 구절로 요약할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하여, 주요 텍스트 중의 하나로 삼아 제자를 교육하고 지식을 풍부하게 해줌으로써 보다 차원 높은 학문 풍토와 격조 높은 외교화법을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시경』의 시들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개인의 이야기, 사람과 사람이 빚어낸 이야기들이 민요로, 서정시로, 혹은 풍자시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온갖 인간군상의 행태와 감정의 원형들이 다 구비되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유가(儒家) 사상이 정치관념으로 교조화되면서, 정치상 혹은 도덕상의 목적을 덧씌워 『시경』을 바라보는, 단일한『시경』해석만이 강요되었다. 이천여 년 간의 편협한 이해는, 현대에 이르러 비로소 시정되어, 이제는『시경』의 본 의미를 그대로 이해할 수 되었고, 그 가치를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학습목표

1. 사서삼경 중 하나인 『시경(詩經)』 305편 중 문학적 가치가 높은 작품을 선별하여 읽고 해석할 수 있다.
2. 시경이 작성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아 『시경』의 본 의미를 그대로 이해하고 그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3. 시의 분류법과 표현 수법 등을 파악하여 한시의 형식과 문학적 가치 등을 이해할 수 있다.
4. 시경에 사용된 한자의 변천과정이나 제자원리 등을 살펴보고 정확한 뜻을 이해할 수 있다.

과정특징

* 김언종 교수님의 쉽고 재밌는 해설로 시경에 대한 다각적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 원문필기 기능과 교재를 활용해서 학습자 스스로 원활한 학습이 가능하고, 원문에 대한 교수님의 해설을 통해 원문에 담긴 새로운 의미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원문에 충실하게 구성하여 과거 서당에서 배우는 내용 그대로를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습니다.
* 필사연습, Mobile, MP3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과거 서당을 완벽하게 현대식 서당으로 재현하였습니다.

교육대상

일반 성인 및 직장인

교육목차

제1장
원문독파! 사서삼경 - 시경(詩經)
제1절
詩經 강의 소개
제2절
詩1편 周南, 關雎(주남. 관저) 1
제3절
詩1편 周南, 關雎(주남. 관저) 2
제4절
詩3편 周南. 卷耳(주남. 권이)
제5절
詩6편 周南. 桃夭(주남.도요),詩9편 周南. 漢廣(주남. 한광)
제6절
詩17편 召南.行露(소남.항로)
제7절
詩20편 召南․摽有梅(소남, 표유매),詩23편 召南․野有死麕(소남, 아유사균)
제8절
詩26편 邶風․柏舟(패풍, 백주)
제9절
詩31편 邶風․擊鼓(패풍, 격고)
제10절
詩35편 邶風․谷風(패풍, 곡풍) 1
제11절
詩35편 邶風․谷風(패풍, 곡풍) 2
제12절
詩42편 邶風․靜女(패풍, 정녀), 詩43편 邶風․新臺(패풍, 신대)
제13절
詩45편 鄘風․柏舟(용풍, 백주), 詩52편 鄘風․相鼠(용풍, 상서)
제14절
詩58편 衛風․氓(용풍, 맹) 1
제15절
詩58편 衛風․氓(용풍, 맹) 2
제16절
詩 64편 衛風.木瓜(위풍.목과), 詩 70편 王風.兎爰(왕풍.토원)
제17절
詩72편 王風.采葛(왕풍.채갈), 詩73편 王風.大車(왕풍.대거)
제18절
詩76편 鄭風.將仲子(정풍.장중자), 詩77편 鄭風.叔于田(정풍, 숙우전)
제19절
詩87편 鄭風.?裳(정풍.건상), 詩91편 鄭風,子衿(정풍,자금)
제20절
詩93편 鄭風.出豈東門(정풍.출기동문), 詩95편 鄭風.溱洧(정풍.진유)
제21절
詩 96편 齊風. 鷄鳴(제풍, 계명)
제22절
詩 110편 魏風. 陟岵(위풍, 척호), 詩 112편 魏風.伐檀(위풍.벌단)
제23절
詩 113편 魏風. 碩鼠(위풍. 석서), 詩 115편 唐風. 山有樞(당풍. 산유우)
제24절
詩121편 唐風․鴇羽(당풍, 보우), 詩131편 秦風․黃鳥(진풍, 황조)
제25절
詩133편 秦風․無衣(진풍, 무의)
제26절
詩135편 秦風․權輿(진풍, 권여), 詩138편 陳風․衡門(진풍, 형문)
제27절
詩148편 檜風․隰有萇楚(회풍, 습유장초), 詩155편 豳風․鴟鴞(빈풍, 치효)
제28절
詩 161편 小雅. 鹿鳴之什. 鹿鳴(소아. 녹명지십. 녹명), 176편 小雅. 菁菁者莪(소아. 청청자아)
제29절
詩164편 小雅, 常棣(소아, 상체)
제30절
詩 167편 小雅. 采薇(소아. 채미)
제31절
詩 177편 小雅. 六月(소아. 유월) 1
제32절
詩 177편 小雅. 六月(소아. 유월) 2
제33절
詩 179편 小雅. 車攻(소아. 거공)
제34절
詩181편 小雅, 鴻鴈(소아, 홍안)
제35절
詩182편 小雅, 庭燎(소아, 정료)
제36절
詩184편 小雅, 鶴鳴(소아, 학명)
제37절
詩245편 大雅.生民之什.生民(대아.생민지십.생민) 1
제38절
詩245편 大雅.生民之什.生民(대아.생민지십.생민) 2
제39절
詩245편 大雅.生民之什.生民(대아.생민지십.생민) 3
제40절
詩303편 商頌.玄鳥(상송.현조)

수료기준

항목 사전 진단 진도율 진행단계평가 최종평가 과제 수료점수
평가 비율 0% 100% 0% 0% 0% 80점
이상
수료조건 없음 80%이상 없음 없음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