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모바일
과정코드 |
HLSP34106 |
교육분야 |
공통/직무 > 경영직무 > 마케팅/홍보 |
학습방법 |
동영상+WBT
**WBT (Web-based Training) :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웹을 기반으로 내용이 진행됨.(Flash 애니메이션 및 의견 작성 폼 등이 다수 포함됨) |
교재제공 여부 |
없음
-
|
고용보험 환급액 |
없음
|
교육비 |
80,000원 |
학습기간 |
1개월 |
학습시간 |
11시간
(영상재생시간 04:48:25)
*영상재생시간은 퀴즈와 summary를 제외한 영상시간입니다.
|
과정개요
* 디지털 환경이 급변하면서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와 달라진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에 최적화된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이 대두
* 새로운 매체와 새로운 채널, 그리고 새로운 경향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을 오롯이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할 필요성이 증대
학습목표
1. 제품 및 서비스, 또는 브랜드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 · 개발 · 활용하고 이 과정을 통해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콘텐츠 마케팅을 실행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을 활용함으로써 자사의 제품, 서비스,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이를 통해 주요 마케팅 메시지의 적확한 전달과 구매 행동 유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매체와 다양한 채널들이 등장하고 있는 오늘날, 각각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들의 특성에 최적화된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을 실행함으로써 탁월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과정특징
* [체계적인 커리큘럼 구성]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의 핵심적인 이론과 주요 프로세스 및 방법론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커리큘럼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 마케티의 기획 및 실행을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 [사례학습을 통한 실행력 제고] 다양한 산업군과 기업들의 콘텐츠 마케팅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심도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자사의 제품 및 서비스의 콘텐츠 마케팅 전략의 효과성/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환경의 새로운 문법을 이해] 이전과는 크게 달라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소와 구현방식을 면밀하게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넘어 ‘현업에서의 실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교육대상
1.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의 정확한 개념과 방법론을 학습하여 현업에서 활용하기를 원하는 마케팅 실무자
2. 디지털 환경에서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문법과 방법론을 탐색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현업 마케터
3. 자사의 제품서비스를 새로운 방식으로 알리고자 하는 마케터 / 경영자
교수소개
- 교수명
- 황성욱
- 학력
-
헬싱키 경영경제 대학원경영학 석사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대학원 디자인학 석사
- 경력
-
現) SEED Lab 대표 프로젝트 매니저 및 대표 강사
現) 핀란드 Aalto University Imba과정 초청교수
前) 삼성 인력개발원 Trend Sensing 교육 담당
前)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출강교수
前) 서울디지털대학교 디지털 콘텐츠 학부 전임교수
前)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자인연구소 전략기획팀 선임연구원
교육목차
- 제1장
- Module 1. 콘텐츠 마케팅에 대한 개념적 이해
- 제1절
-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소비자를 사로잡는 콘텐츠 마케팅
- 제2절
-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의 기초 : Hyper Targeting
- 제3절
-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의 기초 : Social Listening
- 제2장
- Module 2. 콘텐츠 마케팅 실행 가이드
- 제1절
- 콘텐츠 마케팅의 Engagement 극대화
- 제2절
- 매력적인 콘텐츠 마케팅을 위한 3C : Context
- 제3절
- 매력적인 콘텐츠 마케팅을 위한 3C : Content & Container
- 제4절
-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의 기획·실행
- 제3장
- Module 3. 콘텐츠 마케팅 핵심전략
- 제1절
- 콘텐츠 마케팅 핵심전략 1st : Relevance
- 제2절
- 콘텐츠 마케팅 핵심전략 2nd : Usefulness
- 제3절
- 콘텐츠 마케팅 핵심전략 3rd : Fun
수료기준
항목 |
사전 진단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 비율 |
0% |
0% |
0% |
100% |
0% |
60점 이상 |
수료조건 |
필수 |
80%이상 |
없음 |
필수 |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