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과정코드 |
HLSP09734 |
교육분야 |
산업별전문직무 > 건설 > 건설 일반 |
학습방법 |
동영상(70%)+WBT(30%)
**WBT (Web-based Training) :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웹을 기반으로 내용이 진행됨.(Flash 애니메이션 및 의견 작성 폼 등이 다수 포함됨) |
교재제공 여부 |
없음
-
|
고용보험 환급액 |
대기업 : 34,200원 | 중견기업 : 54,720원 우선지원기업 : 80,000원 |
교육비 |
80,000원 |
학습기간 |
1개월 |
학습시간 |
18시간
|
과정개요
* 최근 건설시장은 경기 침체로 인건비 및 자재비의 상승으로 낮은 생산성과 저가 수주에 따른 수익성 하락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건설현장소장의 책임과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지고, 과거 경험적인 지식에 의존한 현장 운영에서 벗어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본 과정에서는 건설 현장의 구심점인 현장소장의 책임과 권한, 현장소장의 능력개발, 사업기간단축, 공정관리, 품질관리 등 건설현장 소장이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학습목표
1. 앞으로 전개될 건설관리 현황 및 미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2. 장소장의 역할과 다양한 역량을 파악할 수 있다.
3. 현장소장이 갖추어야 할 리더십을 실제 현장에서 발휘할 수 있다.
4. 공사계획 및 관리의 핵심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5. 현장소장의 효율적인 생산성 관리 요소를 나열할 수 있다.
과정특징
* 건설 현장에서 프로젝트 매니저라 할 수 있는 현장소장의 책임과 권한에는 어떠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현장소장의 능력개발을 통해서 건설사업의 사업기간단축, 공정관리, 품질관리, 사업비절감(VE(Value Engineering))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건설사업의 기획, 설계, 구매 및 조달, 시공, 사후관리 등 종합적 관리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교육대상
1. 발주청(국토부, 지자체, 공사 등) 소속 공사관리 담당 직원
2. 건설기술자 및 감리원, 기술사 및 건축사
3. 건설현장 관리 업무 담당 실무자 및 관리자
4. 건설 현장소장을 준비하고 있는 건설업 재직자
5. 건설 현장소장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 실무자
6. 현재 건설업에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
교수소개
- 교수명
- 김창교
- 학력
-
단국대학교 대학원
- 경력
-
우송대학교 건축학부 초빙교수
-한국사회능력개발원 외래강사
-
교육목차
- 제1절
- 건설산업과 건설관리
- 제2절
- 건설산업의 동향과 미래
- 제3절
- 국내 건설기술 정책의 이해
- 제4절
- 현장소장의 임무와 역할
- 제5절
- 현장소장의 리더십
- 제6절
- 시공계획(1)
- 제7절
- 시공계획(2)
- 제8절
- 공사관리(1)
- 제9절
- 공사관리(2)
- 제10절
- 초고층 주상복합빌딩 신축 공사관리 사례
- 제11절
- 공사관리 효율화 방안
- 제12절
- 건설사업과 민원관리
- 제13절
- 생산성 관리
- 제14절
- 건설상품과 기술예측
- 제15절
- 첨단시공기술 및 자동화
- 제16절
- 프로젝트 위험관리
수료기준
항목 |
사전 진단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 비율 |
0% |
0% |
0% |
50% |
50% |
60점 이상 |
수료조건 |
없음 |
80%이상 |
없음 |
필수 |
필수 |